본문 바로가기
금융

타이거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ETF

by 세렌시아 2022. 2. 28.
반응형

타이거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ETF

 

 

바이오 섹터는 원래도 차세대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었으나, 코로나 사태 이후 인류의 희망으로 떠올랐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삼성바이오로직스나 셀트리온 삼형제 등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미국 나스닥에는 이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다국적 제약 바이오 회사들이 다수 포진해 있는데요.

 

타이거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ETF는 이렇게 나스닥에 상장되어있는 다수의 바이오 업체들을 상장지수펀드로 묶은 상품입니다. 저와 함께 하나씩 살펴보도록 합시다

 

 

1. 기본정보

 

 

타이거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ETF는 나스닥 바이오테크놀로지 지수를 기초지수롤 해서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종목들이 편입되어 있습니다. 산업분류기준으로 생명공학 또는 제약에 속하는 종목 중에서 시가총액 2억달러 이상, 일 평균 거래랑 10만주 이상, 거래소 상장 3개월 이상된 종목 중에서 편입합니다.

 

 

 

설정일은 2014년으로 이제 8년차 ETF이며, 1년에 분배금 지급 횟수는 4회, 분배율은 0.03퍼센트입니다. 아무래도 바이오섹터 자체가 성장주가 대부분이기에 아직 분배금의 액수 자체가 그리 크지 않습니다

 

보수율(수수료)는 0.59퍼센트입니다

 

 

2. 구성종목 포트폴리오

 

 

타이거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ETF의 구성종목 포트폴리오입니다. 편입비중 1위인 길리어드 사이언스를 시작으로 아스트라제네카, 암젠 등 우리나라 투자자들도 잘 아는 유명한 업체들이 다수 포진되어 있습니다

 

 

 

 

큰 규모의 회사들도 있지만, 아직 제약바이오 산업 자체가 이제 폭발적으로 성장 중이기에 (미국 기준) 중소기업들도 어느정도 편입되어 있습니다.

 

 

 

 

헬스케어 섹터가 100%이고, 규모별로는 대형주 47.08퍼센트, 중형주 24.45퍼센트, 소형주 28.47퍼센트입니다. 스타일별로는 가치주가 40.20퍼센트, 혼합형이 20.40퍼센트, 성장주가 39.40퍼센트네요

 

 

 

 

투자국가별로 보면 역시 미국이 88.86%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다른나라들도 없진 않은데요. 영국 3.23%, 독일 2.34%, 중국 2.21%, 프랑스 1.09%, 캐나다 0.80%, 스위스 0.52%, 네덜란드 0.23%, 아일랜드 0.18%입니다.

 

자산군별로는 주식 100%입니다

 

 

3. 주가흐름 및 수익률

 

 

코스피와의 주가흐름비교입니다 

 

2021년 상반기에는 코스피의 흐름이 더 좋았는데요. 여름을 이후로 타이거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ETF의 주가가 더 좋았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주식시장이 조정을 받고 있기 때문에 같이 떨어져있네요

 

 

 

 

나스닥과의 비교입니다.

2021년의 상당수는 이 ETF의 주가가 더 좋았는데요. 올해 들어서부터는 성장주들의 주가가 둔화되면서 비교지수 대비 좋지 못한 흐름을 보이고 있네요

 

 

 

 

수익률입니다

최근 1년간은 계속 조정을 받고 있어서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네요. 반대로 말하자면 그동안 코로나로 인해서 많이 올랐기 때문에 그만큼 조정을 받고 있다고 보셔도 됩니다

 

 

 

 

최근 분배금 지급내역입니다

1좌당 5원~10원 정도로 소소한 분배금이 지급되고 있습니다

 

 

4. 위험지표 및 타 ETF와의 비교

 

 

다른 헬스케어 섹터와의 위험지표 비교입니다.

 

 

 

 

 

TIGER 헬스케어, TIGER차이나바이오테크SORACTIVE, KODEX 바이오와 타이거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ETF와의 비교입니다.

 

 

 

 

다들 바이오섹터이다보니 최근 1년 수익률은 모두 마이너스네요. 그 대신에 3년 이상의 장기수익률을 보면 타이거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ETF가 가장 좋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관련글 보기

 

 

TIGER 헬스케어 (클릭해서 내용보기)

 

KODEX 바이오 (클릭해서 내용보기)

반응형

댓글